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후 1~12개월 아기 발달 단계 한눈에 보기

by 미미튜터 2025. 4. 21.

아기가 태어나서 첫 1년은 그 어떤 시기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변화하는 시기다.
우리 아기도 3월에 첫 돌을 맞이했다. 1년간 정말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기간이었지만 그 기간 동안 다양한 발달 단계를 보면서 너무 행복하고 신기하기도 했다. 출산 전 미리 1~12개월 아기 발달 단계를 잘 알고 있다면 아기를 처음 키우는데 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왜냐하면 아기는 몸무게, 키는 물론 감정 표현, 인지 능력, 대소근육 발달 등 다양한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생후 1개월부터 12개월까지 월령별 발달 특징을 정리해 본다.
아기의 성장 과정을 이해하고, 적절한 자극과 반응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정보다.

 

생후 1~12개월 아기 발달 단계 한눈에 보기
생후 1~12개월 아기 발달 단계 한눈에 보기

 

생후 1~4개월: 감각 발달과 첫 반응

생후 1개월

가까운 곳(20~30cm)에 시선을 잠깐 머물 수 있음

강한 소리에 깜짝 놀라거나 팔다리를 뻗는 반사 반응

하루 약 16~18시간을 잠으로 보냄

울음으로 욕구를 표현함

 

생후 2개월

사람 얼굴을 응시하고 익숙한 목소리에 반응함

웃는 얼굴을 흉내 내거나 눈 맞춤을 시도함

'옹알이' 같은 소리를 내며 반응함

엎드리면 머리를 들기 시작함

 

생후 3개월

손을 자주 입으로 가져가며 자기 몸을 인지하기 시작함

목을 가눌 수 있게 되고, 상체를 살짝 일으킬 수 있음

부모와 눈맞춤이 활발해지고 웃음 반응이 증가함

다양한 옹알이 소리로 의사 표현을 시도함

 

생후 4개월

손과 눈의 협응력이 발달하며 장난감을 잡으려 함

소리에 더욱 명확하게 반응하고 사람 목소리를 구별함

엎드려서 머리를 높이 들 수 있음

웃음소리가 풍부해지고 낯선 사람에게도 관심을 보임

 

 

생후 5~8개월: 움직임의 확장과 사회적 상호작용

생후 5개월

손으로 물건을 쥐고 흔들며 놀이를 시도함

거울 속 자신의 모습에 흥미를 느낌

혼자 앉으려고 하거나 잠깐 앉을 수 있음

엄마와 떨어지면 불안한 듯 울기도 함

 

생후 6개월

혼자 앉는 자세가 가능해지고 손을 자유롭게 사용함

이유식을 시작하면서 새로운 식감을 경험함

낯가림이 시작되고 엄마, 아빠를 구별함

장난감을 입에 넣고 탐색함

 

생후 7개월

배밀이나 기기 시작하는 아기가 있음

엄마가 보이지 않으면 울며 찾기도 함

'빠빠', '마마' 같은 소리를 반복함

거울을 보며 웃거나 손을 뻗는 등 자기 인식이 발달함

 

생후 8개월

스스로 앉고 넘어지지 않게 중심을 잘 잡음

작은 물건도 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음

말투나 표정을 따라 하려는 시도가 나타남

낯선 사람에게 경계심을 보이며 감정 구분이 가능해짐

 

 

생후 9~12개월: 인지력 향상과 첫 걸음 준비

생후 9개월

기는 속도가 빨라지고 자유롭게 탐색함

이름을 부르면 반응하고 손을 흔드는 등의 동작이 가능함

박수치기, 간단한 동작 따라 하기가 가능함

간단한 단어(빠이, 안녕 등)의 의미를 이해하기 시작함

 

생후 10개월

잡고 일어서려는 시도를 함, 가구에 의지해 서있기도 함

"하지 마", "줘" 같은 간단한 지시에 반응함

손가락으로 작은 물건을 집는 ‘핀셋 잡기’ 가능

관심 있는 사물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행동이 나타남

 

생후 11개월

몇 걸음 혼자 걷는 아기도 있음

물건을 던지거나 주고받기 놀이를 시도함

감정 표현이 풍부해지고 기분에 따라 행동이 달라짐

'엄마', '아빠', '멍멍이' 등 단어를 상황에 맞게 사용함

 

생후 12개월

첫돌 무렵, 걷는 아기도 있고 아직 기는 아기도 있음

이름을 알아듣고 부르면 돌아봄

까꿍, 짝짝꿍 같은 놀이에 능숙하게 반응함

사물이나 사람을 지목하며 이름을 말하려는 시도가 나타남

 


아기의 발달 속도는 개인차가 크다.

월령별 기준은 평균적인 발달을 보여주는 것이며, 조금 빠르거나 느리더라도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특정 반응이 너무 오랫동안 나타나지 않거나, 감각적인 차이가 두드러진다면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따뜻한 애정인 것 같다. 그 관심이 아기의 건강한 성장을 이끄는 가장 큰 힘이 된다.
오늘도 고군분투하고 있을 육아맘들, 모두 화이팅!